전체 글 139

[Vue] vue.component와 export default방식의 차이

Vue.component : 전역 컴포넌트로 사용 이는 중소 규모 프로젝트에서 유용하며, 좀 더 복잡한 프로젝트나 프론트엔드가 Javascript기반인 경우 단점이 생긴다. -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고유한 이름을 지정하도록 강요되어짐 - 구문 강조가 약하기 때문에 여러 줄로 되어진 HTML에 가독성이 좋지 않은 슬래시가 많이 들어감 - HTML, Javascript가 컴포넌트로 모듈화 되어있으나, CSS는 지원되지 않음 이러한 단점을을 Webpack, Browserify같은 빌드 도구를 이용하여 .vue 확장자를 가진 싱글 파일 컴포넌트로 해결(export default)할 수 있다. .vue 파일이 하나의 독립적인 컴포넌트 기능을 함 div p {{greeting}} World! other-compo..

📕 Language/Vue 2022.05.02

[Age of Vue] Vue.js 시작하기 - 11. 컴포넌트 소개/전역 컴포넌트 등록 및 실습

컴포넌트? 컴포넌트는 화면의 영역을 구분하여 개발할 수 있는 뷰의 기능. 컴포넌트 기반으로 화면을 개발하게 되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 개발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Root 컴포넌트가 된다. 전역 컴포넌트 등록 Vue.component('컴포넌트 이름', 컴포넌트 내용);

📕 Language/Vue 2022.05.01

[Age of Vue] Vue.js 시작하기 - 10. 인스턴스 옵션 속성

new Vue({ el : '#app' , //마운트 할 요소 template : '', data : {//객체 또는 배열로 지정 name : 'kea', message : 'hi' }, methods : { }, created : function() { }, watch : { } }); el : 인스턴스가 그려지는 화면의 시작점(특정 HTML 태그) template : 화면에 표시 할 요소 (HTML, CSS) data : 뷰의 반응성(Reactivity)가 반영된 데이터 속성 methods : 화면의 동작과 이벤트 로직을 제어하는 메서드 created : 뷰의 라이프 사이클과 관련된 속성 watch : data에서 정의한 속성이 변화했을 때,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정의

📕 Language/Vue 2022.05.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