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9

[Spring] AOP 사용 예제 - AOP class 구현

AOP는 IOC, DI, DL과 더불어 스프링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공통적인 요소나 반복되어 사용되는 요소를 한 곳에 묶어 관리하는 관점 지향적 프로그래밍 기법이라 할 수 있다. method가 실행될때마다 method의 parameter와 method return value를 console에 찍는 AOP를 구현해보자 (기존에 개인적으로 공부하던 프로젝트에 넣어보았다) 그 전에ㅡ해당 기능을 구현하려면, AOP 기능과 관련된 스프링 annotaion에 대해 알아야한다. @Aspect AOP 클래스 정의 시 사용 @Pointcut AOP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Before 메소드 실행 전 @After 메소드 실행(성공) 후 @AfterReturning 메소드가 정상 ..

[tomcat] Tomcat(톰캣) JAVA_HOME 수동 설정

기존 운영 서비스는 JAVA_HOME의 환경변수를 바라보고 있고(32bit) 테스트 서비스에 64bit인 JDK를 설치해야하는 상황 테스트 용으로 띄운 톰캣에 JAVA_HOME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1. tomcat의 bin폴더에 가면 catalina.bat 파일이 있다. 해당 파일을 편집한다. 2. 하단의 내용을 추가한다. jdk 파일 경로는 물론, 자신의 로컬 폴더이다. set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1.0.13" set "JRE_HOME=C:\Program Files\Java\jdk-11.0.13"

[Web] Servlet(서블릿)

목차 Servlet(서블릿)이란 Servlet Container? Servlet의 동작방식 JSP와의 유사성? Servlet(서블릿)이란? 동적 웹 페이지(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Web Application 프로그래밍 기술. 웹 서버 성능 향상을 위한 JAVA class의 일종. 클라이언트의 HTTP request에 대해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하는 Servlet 클래스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프로그램. 클라이언트의 Request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 HTML을 이용하여 Response JAVA의 스레드를 이용하여 동작 MVC에서 컨트롤러 역할 javax.servlet.http.HttpServlet 을 상속받는다 Servlet Co..

[Error] org.gradle.tooling.BuildException: Could not fetch model of type 'GradleBuild' using connection to Gradle distribution

기존 워크스페이스를 밀고, 이클립스를 새로 설치했는데 문제 없던 Git 레파지토리가 정상적으로 import되지 않았다. 에러 내용은 org.gradle.tooling.BuildException: Could not fetch model of type 'GradleBuild' using Gradle distribution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6.7.1-bin.zip'. 해결방법 Window > Preferences > Gradle > 비어있는 Java home 필드에 jdk 연결 참고 시도해봤다가 실패한 방법 import할 때, Local installation directory에 gradle 파일을 직접 연결시켜보았으나 실패 (원래는 G..

📕 Language/Java 2022.03.15

[Javascript] this

Javascript에서의 this는 Java보다 더 다양한 동작방식으로 이루어진다. var info = {name: "euna"} this.name은 euna가 출력되어진다. 변수 info는 this가 바라보는 객체가 된다. this의 동작 방식들 우선, this를 콘솔 로그로 찍어보자 this는 전역 객체를 바라보는 값으로 갖는다. (여기서는 window 객체) console.log(this); 일반 함수에서의 This : 일반함수에서는 전역 객체인 window가 저장 일반 중첩 함수에서의 This : 위와 동일 Events Listener에서의 This : this는 이벤트를 발생시킨 객체 메소드에서의 This : 객체 자신이 저장 메소드 : 객체를 통해 수행 (java로 따지면 class에 종속된 ..

[Java] Thread 구현 예제

Thread : 프로세스 안에서의 하나의 흐름 자바는 Multi Thread 지원 (대기 중, 다른 일을 처리하여 처리 속도 향상) Thread 구현하는 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Thread class를 상속받아서 사용 둘째, Runnable class를 상속받아서 사용 자바는 다중 상속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타 클래스를 상속받아야하는 경우때문에 2번을 주로 사용 Runnable을 사용하여 Thread를 구현해보자! 기본 구현 package study; //Runnable interface 상속받는 방식으로 Thread 구현 (run() method 구현 필수) public class ThreadSample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String TEMPLATE = "출력..

📕 Language/Java 2022.03.05

[Java] this, this()

this 참조 변수 (인스턴스 자신을 가리킴) 인스턴스 변수와, 생성자 매개변수 이름이 같을 때, 인스턴스 변수를 나타내기 위함 인스턴스의 주솟값 지정 모든 생성자와 인스턴스 메소드에 지연변수로 숨겨져 있다 package study.thisInstance; public class Info { String name; int age; //생성자 Info(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name = "euna"; int age = 29; Info info = new Info(name, age); System.out.println(info.name); ..

📕 Language/Java 2022.03.01

[HTTP] Content-Type

HTTP 통신을 할 때의 헤더 정보 중 하나. 응답 헤더(Response Header)에 media type, 즉 반환되는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쉬운 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유형(주로 Body에 담긴)이 뭔지 알려주는 것이다. 누구에게? 데이터를 받는 쪽에게! 데이터를 받는 쪽이란, Request/Response 둘 다 포함 EX)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boundary=something * Header가 없으면, 단순 텍스트 데이터로 받는다. * HTTP통신 중, GET방식에서는 타입 헤더 정보가 필요 없고, POST나 PUT처럼 Body에 데이터를 보낼 때 필요하다. typ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