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9

[Database] 데이터 베이스 Lock의 개념, 생성 및 해제 원리

목차 Lock Lock의 종류 Lock의 범위 Lock의 해제 실무에서 무엇보다 나를 괴롭히던 Lock에 대해 알아보자 Lock? Lock은 DBMS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른 말로 하면, 트랜잭션 처리의 순차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영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같은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접근했을 때, 데이터가 망가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콘서트 티켓팅이나, 수강신청같은 동시 다발적으로 몰리는 시스템이다. Lock의 종류 Lock은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공유 락(Shared Lock, 또는 Read Lock)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 내가 해당..

📒 Database 2022.02.26

[운영체제] 데드락(Deadlock)이란? 교착상태에 대하여

목차 데드락이란? 데드락의 발생조건 데드락의 처리 데드락(교착상태, Deadlock)이란? 시스템 자원에 대한 요구가 뒤엉킨 상태. 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하여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교착상태'를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말하면, 멀티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한정된 자원을 여러 프로세스가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하며, 그 프로세스는 서로 원하는 자원을 얻기 위하여 무한정한 대기를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결과적으로는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Process① 이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자원인 Resource(1)을 사용하고 있다. 근데 그 작업을 위해서는 Resource (2)도 필요하여, Resource(2)를..

🔖 etc 2022.02.26

[ORACLE] 오라클 삭제, 수정 후 commit한 데이터 복구

Oracle TIMESTAMP 기능. 일종의 휴지통과 같다. SELECT * FROM table_name AS OF TIMESTAMP(SYSTIMESTAMP - INTERVAL '30' MINUTE) 예시 쿼리는 30분 이전의 데이터가 조회된다. 단위는 SECOND, MINUTE, HOUR, DAY 중 선택할 수 있다. * 추가 특정 시간대를 지정하여, 그 당시의 변경 전 데이터도 조회 가능하다. SELECT * FROM table_name AS OF TIMESTAMP(TO_DATE('2022-02-25 15:00:00', 'YYYY-MM-DD HH24:MI:SS'))

[Cloud] IaaS, PaaS, SaaS

목차 Cloud computing IaaS PaaS SaaS 생각해보면, 내가 처음 클라우드를 접한 것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Naver Cloud였다.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될 무렵, 그때는 갓 성인이 되어 친구들과 놀러다니기를 좋아했던 때라서 수 없이 사진을 찍었고 그것들을 소중하게 보관하고 싶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터무니없이 적은 용량에 최대한 중복되는 사진을 지우고, 또 지우고를 수차례 반복하기를 여러번. 그런 시행착오 끝에 접한 것이 바로 네이버 클라우드 저장소였다. 그 당시에는 클라우드라는 개념이 생소했지만, 지금은 누구든 쉽게 클라우드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주로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해 많이들 쓰는 것 같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그리고 그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탄생한 ..

📘 Web/Cloud 2022.02.24

[MSSQL] SSMS 처음 실행 속도 빠르게 하는 법

요즘 부쩍 SSMS 로딩 속도가 느리다. 이유는 잘 모르겠다. SSMS 실행 파일을 찾아, 마우스 오른쪽 - 속성 - 바로 가기 - 대상에 저렇게 -nosplash 옵션을 추가하였더니 체감 속도가 훨씬 빨라졌다. 다만, 실행 로딩 시 보여지던 화면은 보여지지 않는다. 그 옵션을 제거하는 것 같다. 대쉬 (-) 앞에 스페이스 바( ) 한번을 쳐줘야 적용 시, 오류가 나지 않는다.

📒 Database/Mssql 2022.02.22

[Oracle] expdp/impdp 명령어

expdp 1. 테이블 단위 백업(emp, dept) expdp name/name@ip:port/sid DIRECTORY=TEST_DUMP dumpfile=backup.dmp tables=emp,dept logfile=backup.log 2. 스키마 단위 백업 expdp name/name@ip:port/sid schemas=name DIRECTORY=TEST_DUMP dumpfile=backup.dmp logfile=backup.log 3. DB 단위 백업 expdp name/name@ip:port/sid DIRECTORY=TEST_DUMP dumpfile=backup.dmp full=y logfile=backup.log impdp 1. 테이블 단위 복원(emp, dept) impdp name/name@..

[Server] Web Server와 Was의 차이 (Apache, Tomcat?)

입사 초에는 Apache는 당연히 회사 이름인 줄 알았고 Tomcat은 서버이겠거니 했다. 신입을 거치면서 그 둘의 의미가 Apache - Web Server / Tomcat - WAS로 구분이 된다는 것을 알았으나, 정작 Web Server와 WAS의 차이를 제대로 알 지 했다. 이번 글은 느낌으로만 알고있던 그 둘의 개념과 차이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목록 1. 응답과 요청 2. Web Server란? 3. WAS란? 응답과 요청 (Request/Response) 웹 서비스의 핵심적인 기능을 단문으로 말하자면, 사용자가 요청(Request)한 데이터를 서버가 응답(Response)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웹 서비스는 기본적으로는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응답해준다. 웹 페이지는 두 개로..

반응형